A study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ontract Mediating roles of procedural justice and leader trust
Main Article Content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ontract. In addition, through mediation analysis, mediating roles of procedural justice and leader trust were examin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0 employees working with several companies based in Korea. Furthermore, 162 responses were put into analysis after filtering out inappropriate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ract, procedural justice, and leader trust. Additionally, both procedural justice and leader trust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ract. Mediation analysis suggest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for both procedural justice and leader trust. Final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etrics
Article Details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Funding data
References
김기현 (2002). 산업디자이너의 이직원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옥희 (2010).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원인 및 해결방안에 관한 인식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대, 한영주, 손난희, 권경인 (2009).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10(1), 83-107.
김한용 (2010). 중소기업 핵심 종업원의 이직결정 및 억제 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형자 (2007).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 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박근수 (2013).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9(1), 175-204.
박성호 (2009).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을 통한 사회과 교사의 태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희 (2000). 상담과 의사소통 통로.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38(4), 25-41
박수영 (2011). 상담자가 지각한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근 (2014). 반도체설비 산업에 종사하는 엔지니어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형인, 남숙경, 양은주 (2011).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457-491.
손진희 (2013).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 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01-522.
신지화, 탁진국 (2011).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385- 407.
오인수, 김광현, Darnold,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2007).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인사·조직연구, 15(4), 43-86.
왕은자 (2009).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왕은자, 김계현 (2010). 진로상담: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분석, 상담학연구, 11(2), 641-656
우종민 (2005).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기법의 효과에 대한 고찰. 인지행동치료. 5(1), 43-52.
유성경, 손난희 (2010). 내담자의 상담 기대와 실제 상담 성과와의 관계에서 치료 동맹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31-947.
윤희석 (2012). 반도체 산업의 미래, 사람에 달렸다.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
은화리 (2013). 대졸 초기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민, 유규창, 박우성 (2010). 인사관리연구에 게재된 인사관리 분야 논문 분석: 1980년대부터 2008년까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1), 177-218.
이상헌 (2004). 국내외 기업의 퇴직자 면담(EIS)에 대한 인식과 현황.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석, 오동근, 서용원 (2004). 회사신뢰 및 상사신뢰의 결정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7(2), 147-186.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2005). 상담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이정화, 연문희 (2009). 치료동맹의 발달 유형과 상담성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1-24.
장연희 (2013). 이공계인력의 이직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진혁, 유태용 (2013).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정직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3), 413- 436.
조은현, 탁진국 (2011).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127-155.
조인철, 김명소 (2010). 이탈과 관련된 역기능적 성격요인의 구성 타당화 및 대학생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HDS(Hogan Development Survey)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3), 575-603.
채지형. (2003). IT종사자 93%, 기회오면 이직. 디지털타임즈. www.dt.co.kr.
최지윤, 오경자 (2013) 통제욕구와 우울: 스트레스 상황 내 통제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13(1), 258- 258.
최천학 (2002). 진주지역 대학행정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12). 사회조사: 스트레스 정도(직장생활, 13세 이상 인구).
한국반도체산업 산업발전사 (2013).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홈페이지.
한소영, 신희천 (2010).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01-929.
한허정 (2007). 조직 중간 관리자의 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rroll, M. (2010). 기업상담 [Workplace Counseling]. (전종국, 왕은자, 심윤정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6 출판).
Giacalone, R. A., Stuckey, L., & Beard, J. W. (1996). Conditions influencing biased responding in exit interviews and surveys.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4, 27-39.
Griffeth, R. W., Hom, P. W., & Gaertner, S. (2000).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lt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nium. Journal of Management, 26, 463-488. DOI: https://doi.org/10.1177/014920630002600305
Griffiths, K. E. & Campbell, M, A. (2009) Discovering, applying and integrating: the process of learning in co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Coaching and Mentoring, 7(2), 16-30.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DOI: https://doi.org/10.1177/0011000097254001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52.2.196
Hom, P. W. (2011). Organizational exit.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 pp. 325-37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obley, W. H., Griffeth, R. W., Hand, H. H. & Meglino, B. M. (1977).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Psychological Bulletin, 86(3), 493-522.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86.3.493
Schleicher, D. J., Hansen, S. D., & Fox, K. E. (2011). Job attitudes and work values.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 pp. 137-1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ummerfield, J. & Oudtshoorn, L. (2014). 조직개발, 인사관리 관점에서 접근한 기업상담. [Counseling in the workplace]. (김계현, 왕은자, 권경인, 박성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5에 출판).
Wampold, B. E. (2000). Outcomes of individu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Empirical evidence addressing two fundamental questions.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 711-739). New York: Wiley.
Wampold, B. E. (2007). Evidence based practice. 서울경기인천상담학회 초청 워크샵 자료집. 1월 13일. 서울. 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