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Main Article Content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affective commit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mployees'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is firstly verified. Then the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employees'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is verified.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deviant behavior is reveale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at can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deviant behavior is verified. 252 employee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affective commitment increases a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higher employees' perception for organizational support are, the higher affective commitment are. Second,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decreases as affective commitment increases, that is affective commitment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employees'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Third, affective commitment was empirically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determin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a significant anteceden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be recognized as the motive of affective commitment. The exchange between the employee and employer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feeling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reciprocation in the form of lower levels of deviant behavior. Therefore, results also revealed that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support have an influence o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 Our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aluing employees and investing in their well-being in the workplace.
Metrics
Article Details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References
강민지 (2014).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익, 이영화 (2009).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WIE프로그램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2(4), 46-55.
김미경, 백진아, 이미숙, 이미정, 이선이, 이숙현 (2004). 일과 가족사이. 서울: 조은글터.
김민선, 양지웅, 연규진 (2016).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91-216.
김선중 (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소경 (2010). 재취업한 경력단절 여성의 재이탈 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경 (2008).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김은덕, (2009). 학업우수청소년 부모애착, 성역할정체감, 자존감과 진로장벽 관계모형의 남녀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 (2013). 청소년 일대일 진로코칭프로그램이 불안 감소와 진로 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회 (2014).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지경 (2002).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지현, 오명숙, 정윤경 (2007). 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한 여성 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서울: 한국산업기술재단 연구보고서.
김혜진 (2015). 한국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이동: 그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15(3), 1-27.
노경란, 허선주, 임현선 (2014). 여성의 취업경험별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33(4), 31- 50.
도승이 (2009). 여성공학도의 역할모델과 성역할기대, 학업동기, 진로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학회. 23(4), 769-785.
문란영 (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민무숙, 이정희, 송현주 (2002). 공학분야 여성 고급인적자원 개발 지원방안.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박미경, 이현림 (2008).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5), 239-259.
박소현, 김문수 (2004). 학습과 행동.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수미 (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박정열, 손영미 (2016).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및 재취업 이득/손실의 지각이 재취 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9(1), 101-121.
박주영 (1995). A․B 성격유형․자아정체감․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선혜영, 김수연, 이미애, 탁진국 (2017). 강점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2), 221-246.
손은진, 엄재현, 남은숙, 채영란, 길명숙, 박은하 (2016).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125-136.
신소연, 탁진국 (2017). 내적 일의 의미, 자기주도적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 (1), 1-24.
신지영, 박성실, 형정은 (2012).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1), 19-35.
안상수, 박성정, 최윤미, 김금미 (2011). 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Ⅲ): 대학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양은주, 한종철 (1999).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연구: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1), 79-94.
연규진, 양지웅, 이정선, 장애경, 김정기 (2013).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2), 295 -316.
오은혜, 탁진국 (2012).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4), 727-748.
은혜경 (2010).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성공 요인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상희 (2006). 진로발달에서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의 역할: 사회인지 진로이론(SCCT)과 사회 인지이론의 검증. 상담학연구. 7(4), 1123-1135.
이수영, 진미석, 신선미, 이영민 (2007). 여성연구원의 연구단절 최소화 방안 연구. 과천: 과학기술부.
이영민, 노경란, 최윤선 (2009).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사회적지지 인식과 흥미도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5(2), 45-72
이용길, 강경희 (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공학교육연구. 14(2), 60-67.
이윤숙 (2004). 어머니의 성역할 기대와 여고생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직업선택의 차이.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제경, 김동일 (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청소년상담연구. 12(2), 107-123.
이지연, 은혜경 (2006). 경력차단여성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7(2), 365-383.
이코노미조선 (2013, 12월). 비즈니스 세계에서 살아남으려면. 25-31.
이하나 (2016. 5. 5). 엄마과학자에겐 경력단절이 연구인생 최대위기. 여성신문. 8면.
이혜림 (2013). 여성 경력단절에 따른 소득손실 크다. 서울: LG경제연구원.
장서영 (2006). 고등교육기관을 활용한 고학력 경력차단 여성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장서영, 안선영 (2007).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성인교육학회. 10(4), 25-45.
장서영, 오은진, 은혜경, 이만기, 이지홍 (2012).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프로그램 개정연구 최종 보고서. 서울: 고용노동부.
장성배 (2013). 경력목표설정 그룹코칭이 경력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찬열 (2013).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0(1), 1-14.
전혜숙 (2010). 경력단절여성의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윤경, 오명숙, 김지현 (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주성희 (2016). 경력단절여성의 생애 진로전환 경험분석: 근거이론적 접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사학위논문.
진미석, 윤형한 (2002). 이공계 기피현상과 고등학교 진로지도. 진로교육연구. 15(2), 1-21.
최경화 (2015).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영숙 (2004). 진로장벽에 직면한 직업복귀 여성의 진로타협 유형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하애란 (2010). 한국 여성의 경력단절요인이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분석.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고용정보원 (2011). 구직준비도 검사.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jobPsyExamNew/jobPsyExamList.do?tabMode=2 에서 2017년 6월 15일 자료 얻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경력단절여성 활용의 경제적 효과.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황수경 (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홍혜미 (2012). 재취업한 경력단절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변화 경험 연구: 개인과 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Belenky, M. F., Clinchy, B. M., Goldberger, N. R., Tarule, J. M. (1997). Women‘s ways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New York: HarperCollins.
Betz, N. E., & Hackett. G. (1983).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the selection of science-based college maj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3(3), 329-345.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46-5
Caffarella, R. S.,& Olson, S. K. (1993). Psychosocial development of wome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dult Education Quarterly, 43(3), 125-151. DOI: https://doi.org/10.1177/0741713693043003001
Dweck C. S., & Leggett, E. L.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2), 256- 273. DOI: https://doi.org/10.1037/0033-295X.95.2.256
Fitzgerald, L. F., Fassinger, R. E. & Betz, N. E. (1995). Theoretical advances in the study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Fisher, H. (2005). 제 1의 성 [The first sex]. (정명진 역). 서울: 생각의 나무. (원전은 1999에 출판).
Folkman, S., & Lazarus, R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70-150.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48.1.150
Ginger, C., & Mitsch, D. (2009). Expansion: scaling the benefits of coaching for groups and teams. Choice-The Magazine for Professional Coaches, 6(4), 29-32.
Hacker, S. (1989). Pleasure, power, and technology: Some tales of gender, engineering, and the cooperative workplace. Boston: Unwin Hyman.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Lane, K. A., Goh. J. X., & Driver- Linn. E. (2012). Implicit science stereotyp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academic participation. Sex Roles, 66(3), 220. DOI: https://doi.org/10.1007/s11199-011-0036-z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36-49.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Lent, R. W., Brown, S. D., Nota, L., & Soresi, S. (2003). Testing social cognitive interest and choice hypotheses across holland types in Itali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101-118. DOI: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57-X
McCracken, R. S., & Weitzman, L. M. (1997). Relationship of personal agency, problem- solving appraisal, and traditionality of career choice to women'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2), 149-159.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44.2.149
Naisbitt, J. (1984). Megatrend: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NY: Grand Central Publishing.
Nesdale, D. & Printer, K. (2000).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ctivities in unemployed ethnic youth.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5). 608-614. DOI: https://doi.org/10.1080/00224540009600500
Ray, E. L., & Miller, K .L. (1994). Support, stress, and burnout: Who can help?.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0(3), 357-373. DOI: https://doi.org/10.1177/0021886394303007
Rivera, L. M., Chen, E. C., Flores, L. Y., Blumberg, F. & Ponterotto, J. G. (2007). The effects of perceived barriers, role models, and acculturation on th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consideration of Hispanic women, The Career consideration of Hispanic wome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6(1), 47-61. DOI: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7.tb00019.x
Saks, A. M. & Ashforth, B. E. (2000). Change i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1), 277-287. DOI: https://doi.org/10.1006/jvbe.1999.1714
Savickas, M. L. (1997). Career adaptability: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1), 247-259. DOI: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469.x
Savickas, M. L.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NJ: John Wiley & Sons.
Saunders, S. A. (2013). The impact of a growth mindset intervention on the reading achievement of at-risk adolescent students. (Online Archive of University of Virginia Scholarship). https://doi.org/10.18130/V3TZ8F DOI: https://doi.org/10.18130/V3TZ8F
Shih, M., Pittinsky, T. L., & Ambady, N. (1999). Stereotype susceptibility: Identity salience and shifts in quantitative performance. Psychological Science. 10(1), 80-83. DOI: https://doi.org/10.1111/1467-9280.00111
Super, D. E., & Knasel. E. G. (1981).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Some theoretical problems and a possible solution.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9(2), 194-201. DOI: https://doi.org/10.1080/03069888108258214
Swanson, J. L., Daniels, K. K. (1995).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219-244. DOI: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Swanson, J. L.,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1), 431-450. DOI: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405
Tak, J. (2012). Career Adapt-Ability Scales Kore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3), 712-715. DOI: https://doi.org/10.1016/j.jvb.2012.01.008
UNESCO (2016). 2016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Education for people and planet: creating sustainable futures for all. https://www.unesco.or.kr/data_center/sbu_06_view.asp?articleid=1122 에서 2018, 02, 19 자료얻음.
Zajacova, A., Lynch, S. M. & Espenshade, T. J. (2005). Self-efficacy, stress, and academic success in colleg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6(6), 677-706. DOI: https://doi.org/10.1007/s11162-004-4139-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