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testing model of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Main Article Content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struc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develop the scale of occupational identit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occupational identity using exploratory common factor analysis and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occupational identity with workplace satisfaction. The thir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l of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fulfilling these purposes, three studies conducted. Data gathered from 390 workers in study 1, 505 workers in study 2, 1,115 workers in study 3. As a result,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occupational identity stably replicated, although the sample was changed. The occupational identity had discriminant validity with workplace satisfaction. Except for person-occupation fit(a subfactor of occupational identity) had a high correlation with general, occupational satisfaction(a subfactor of workplace satisfaction), other sub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generally had low correlations with other subfactors of workplace satisfaction. It found that the occupational identity derived from occupational reputation, dedication to the occupation, occupational pride, and mission to the occupation. Furthermore, the occupational identity resulted in the purpose of the worker’s life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worker’s occu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made discussions abou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Metrics
Article Details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제3장 학회지 저작권 및 저작물 이용 방침
제9조(지적 재산 이용 동의와 이용 방침 제정 목적)
① 학회지에 대한 지적 재산 이용 동의와 지적 재산 이용 방침(저작권 규정)은 종이(인쇄 형태) 학회지와 전자(온라인 형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학회지로 발행하기 위해 심사ㆍ편집 및 제반 구성에 관한 물리 납본 및 전자 납본, 전자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하 ‘학회의 2차 저작’)을 수행하고 학회 저작물의 2차 가공을 통한 연구결과의 효과적인 확산과 공유, 권리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가)저작자가 제출한 원고(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저작물: 종이 및 전자 원고, 원고에 수록된 연구결과, 제목, 초록, 저자정보, 키워드, 연구 원문, 연구 원자료(raw data), 표, 통계 실험을 위해 작성한 컴퓨터 프로그램, 기타 첨부자료 등, 이하 원고라고 한다)에 적용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전자 원고 파일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동의어로, 연구결과 및 기타 원고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베이스’와 동의어로 한다.
나)투고 원고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저작권을 포함한 저작권과 저작 인접권, 그리고 특허와 관련된 권리 및 미공개 정보 보호를 위해 적용한다.
②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또 다른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 또는 아이디어, 연구결과의 생산 및 상업화를 촉진해 산업 및 조직 심리학이 추구하는 과학자-전문가(scientist-practitioner) 모형을 실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③ 지적 재산의 보호, 특히 산업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파리협약(1967)(이하 파리협약)의 제10조의 2에 언급된 불공정경쟁에 대한 보호를 실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④ 전자 학회지의 출판 및 유통 결과로 생성한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및 JATS(Journal Archive Tag Suite), 그리고 PDF 및 기타 파일(HTML, XML)의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 DOI, JATS, PDF 등에 수록된 제목 및 초록, 키워드, 저자 정보, 원문, 표 및 그림, 연구 관련 자료의 유통과 2차 가공을 통해 연구 결과물의 인용 확산 및 이용을 수락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제10조(지적 재산 이용 동의와 이용 방침 관련 법령 및 조약 정의) 대한민국 정부와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동맹국 간 자유로운 서지 사항 및 학술자료 유통(이하 ‘오픈 액세스’)을 위하여 국제 협약을 따른다.
① 학술 저작물 저작권 보호를 위해 “문학, 예술 저작물의 보호를 위한 베른 협약”을 따른다.
② 온라인 디지털 환경에서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을 따른다.
③ 저작자의 지적 재산 이용 동의를 통해 저작권법의 범위 내에서 복사, 배포, 전송, 편집, 리믹스, 활용에 이용될 수 있는 콘텐츠인 디지털 공유재를 형성하기 위해 “Creative Commons BY 4.0 라이선스”를 따른다.
제11조(용어 정의와 기본 권리)
① 저작자는 연구 결과물을 만드는 데 기여한 모든 저자를 의미하며, 저작권자의 권리는 1저자와 참여저자, 교신저자에 차등을 주지 아니하고 발생한다.
② 저작물은 저작자가 학회지에 제출한 원고를 의미한다.
가)원고의 지식 재산권 및 저작권은 저작자에게 있다.
나)저작자는 학회에 2차 저작을 승인하거나 거절할 기본 권리가 있다.
③ 학회의 편집
가)한국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는 pISSN 정기간행물로 발행되는 종이 학술지 및 eISSN으로 발행되는 전자 학술지 및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발행, 배포, 전송, 납본, 공유, 확산, 홍보 등 학술지 업무를 수행하고, 저작자가 제출한 원고를 다음의 목적에 활용하기 위해 원고를 심각하게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학술지 편집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학회는 이 절차에서 Creative Commons BY 4.0 라이선스를 준수한다.
나)학회는 Creative Commons 4.0 BY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다음 기술된 행위로 인해 발생한 2차 저작물(이하 ‘학회 저작물’)의 지식 재산권과 저작권은 한국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에 있다.
- 원고 심사 및 출판을 위해 저작자가 제출한 원고의 복제 및 프로그램 이름 형식 변경
- 원고 심사 및 출판을 위해 저작자가 제출한 데이터베이스 구성물의 편집 및 전송
- 원고 심사 및 출판을 위해 저작자가 제출한 원고를 싣는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 변경(예: HWP 파일을 DOCX로 변경, DOCX 파일을 JATS 파일로 변경 등)
- 원고 심사자가 심사 및 출판을 위해 제출한 원고에 인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원본
- 원고 심사 및 출판을 위해 저작자가 제출한 데이터베이스 내 오자 및 오류, 참고문헌의 교정(校正), 미국심리학회 출판 매뉴얼 및 한국심리학회 출판 매뉴얼, 한국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출판 학회지 편집 규정에 맞지 않는 데이터베이스 원본 교정(矯正)
- 전자 학회지를 JATS, PDF, HTML 및 XML, SQL 형태로 발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배열과 참고문헌 형식 변경 및 교정
- 종이(인쇄형태) 학회지를 발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배열과 판면(版面) 편집
- 최종 학회지 구성을 위해 국제표준기구가 정한 DOI, JATS, PDF, HTML, 및 XML, SQL 형태로 원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편집한 2차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 학술 논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집권을 발동하여 편집위원의 연구 설명 및 관련 연구 제시
④ 학회의 전송 등
가)학회의 2차 저작물을 물리 매체와 온라인ㆍ디지털 매체로 발행하면, 유관 기관은 물리 매체 및 온라인 및 디지털 매체로 발행된 컴퓨터 프로그램(JATS, HTML, XML)과 컴퓨터 프로그램에 수록된 데이터베이스(제목, 초록, 저자 정보, 키워드, 연구 원문, 연구 원자료, 기타 첨부 자료 등)를 다시 가공해 연구 성과물을 검색하고 읽고 인용하며 추천할 수 있도록 학회 저작물을 2차 저작한다.
나)학회 저작물을 2차 저작한 자는 저작자의 연구 결과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Creative Commons 4.0 BY 라이선스로 발행, 납본, 배포, 전송하고 유통한다.
- 한국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홈페이지(https://www.ksiop.or.kr) 및 온라인 투고ㆍ심사시스템(https://journal.ksiop.or.kr)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발행ㆍ유통ㆍ홍보
- 외부 기관에 납본ㆍ보존용 배포
국내 |
국외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한국ISSN센터 (http://seoji.nl.go.kr) 국회도서관 (https://www.nanet.go.kr)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 한국오픈액세스저널디렉터리 (사)한국심리학회 전자 데이터베이스
|
국제ISSN센터 (https://www.issn.org) 오픈 액세스 학회지 디렉터리 (ROAD: https://road.issn.org/) DOI (https://www.doi.org) Crossref (https://www.crossref.org) 오픈 액세스 학회지 디렉터리 DOAJ (https://doaj.org) Web of Science 외부 검색엔진(Google, Bing 등)에 등록ㆍ유통 |
제12조(저작자 권리와 의무)
① 저작자 권리
가)저작자는 학회가 저작자가 제출한 원고를 학술지의 심사, 편집, 구성, 배포, 전송, 유통, 홍보를 위한 목적으로 한 ‘학회의 편집’ 및 Creative Commons BY 4.0 라이선스 조건에 따른 ‘학회의 전송 등’에 대하여 동의를 표현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나)동료 심사(peer-review) 받지 않은 상태에서 온라인 디지털 사전 발행(pre-print) 형태로 저자 자가 등록(Author self-archiving) 할 수 있다(예: PsyArxiv, ResearchGate, Open Science Framework 등).
다)학회 저작물을 발행 후(post-print) 저자 자가 등록(Author self-archiving)할 수 있다.
라)학회가 정한 학회 학술지 공식 배포 및 전송방법으로서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홈페이지, 한국심리학회지 등을 통하여 온라인 발행이 이루어진 이후(post-print), 저자 자가 등록(Author self-archiving)할 수 있다.
② 저작자 의무
가)Creative Commons 4.0 BY 라이선스 조건에 동의해야 학회지에 발행할 수 있다.
나)원고 파일을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제목, 초록, 저자 정보, 키워드, 연구 원문, 연구 원자료, 표, 그림, 기타 첨부 자료 등)의 구성에는 다른 저작물의 지식 재산권 침해가 없어야 학회지에 발행할 수 있다.
Funding data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numbers NRF-2012S1A3A2033331
References
김은상 (2002).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의 관계유형이 이직의도, 수행노력,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1), 41-63.
류세자 (2008). 저가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유형별 일체감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근수 (2006). 일몰입에 대한 이해.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종우 (1994).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주현 (2011).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현 (2009). 가상세계에서 아바타 일체감과 충성도 및 아바타 아이템 구매행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세희 (2010). MMORPG에서 사용자 유형별 일체감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소진 (2010). 미용사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예린 (2010).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 인 (2012). 대통령의 평판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동선 (2011).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동일시와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근 (2002). 골프지도자의 직업몰입 결정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려 (2003). 직업무용단의 내부마케팅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정임 (2012). 청소년동반자의 성격 5요인 및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천 (2009). 공무원의 소명의식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주 (2007).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택철 (2010). 물리치료사의 내부서비스품질, 외부 서비스품질, 직무만족, 조직동일시 및 직업동일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한물리의학회지, 5, 421-434.
조은애 (2011). 상담자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재훈 (2012). 스킨스쿠버 브랜드 퍼스낼리티가 브랜드 일체감과 구매 후 행동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준석 (2011).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불확실성과 모호성이 직업 만족도와 구성원 신뢰도 및 조직 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기연 (2005). 교수몰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명옥, 유태용 (2005).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부합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합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39-162.
최윤정 (2009).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영 (2001).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애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훈태 (2008). 조직구성원의 조직 동일시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혜선 (2012).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직무몰입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nderson, W. A., & Martin, P. Y. (1982).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in the social servic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nflict and congruit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5(2), 33-50.
Ashforth, B. E., & Mael, F. (1989).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1), 20-39.
Bamber, E. M., & Iyer, V. M. (2002). Big 5 auditors'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nsistency or conflict?.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21(2), 21-38.
Billsberry, J., Talbot, D. L., & Ambrosini, V. (2013). Mapping fit: Maximizing idiographic and nomothetic benefits. In A. L. Kristof-Brown & J. Billsberry(Eds.), Organizational fit: Key issues and new directions(pp. 124-141). West Sussex: John Wiley and Sons.
Browne, M. W., Cudeck, R., Tateneni, K., & Meis, G. (2010). CEFA: Comprehens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ersion 3.04 [Computer software and manual]. Available from http://faculty.psy.ohio-state.edu/browne/software.php
Chalmers, R. P. (2012). MIRT: A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package for the R environment.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8(6), 1-29. http://www.jstatsoft.org/v48/i06/.
Colarelli, S. M., & Bishop, R. C. (1990). Career commitment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15(2), 158-176.
Converse, P. D., Oswald, F. L., Gillespie, M. A., Field, K. A., & Bizot, E. B. (2004). Matching individuals to occupations using abilities and the O*NET: Issues and an application in career guidance. Personnel Psychology, 57(2), 451-487.
Diefendorff, J. M., & Chandler, M. M. (2011). Motivating employees.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Vol. 3, pp. 65-135). Washington, DC: APA..
Edwards, J. R. (1991).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on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 283- 357.
Greenwood, R., & Hinings, C. R. (1993). Understanding strategic change: The contribution of archetyp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5), 1052-1081.
Hall, R. H. (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 92-104.
Ibarra, H. (1999). Provisional selves: Experimenting with image and identity in professional adapt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4), 764-791.
Johnson, M. D., Morgeson, F. P., Ilgen, D. R., Meyer, C. J., & Lloyd, J. W. (2006). Multiple professional identities: Examining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across work-related targe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2), 498-506.
Kristof-Brown A., Guay, R. P. (2011). Person- environment fit.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Vol. 3, pp.3-50). Washington, DC: APA..
Mael, F., & Ashforth, B. E. (1992). Alumni and their alma mater: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103-123.
Morgeson, F. P., & Dierdorff, E. C. (2011). Work analysis: From technique to theory.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Vol. 2, pp.3-41). Washington, DC: APA..
Morrow, P. C. (1993).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work commitment. Greenwich, CT: JAI.
Pratt, M. G., Rockmann, K. W., & Kaufmann, J. B. (2006). Constructing professional identity: The role of work and identity learning cycles in the customization of identity among medical residen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2), 235-262.
Revelle, W. (2013). Psych: Procedures for psychological, psychometric, and personality research. (Version 1.3.10) [Computer software and manual]. http://CRAN.R-project.org/package=psych.
Rosseel, Y. (2012). lavaan: An R Packag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8(2), 1-36. URL http://www.jstatsoft.org/v48/i02/.
Skorikov, V. B., & Vondracek, F. W. (2011). Occupational identity. Handbook of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693-714). New York.: Springer.
Snizek, W. E. (1972).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7, 109-114.
Vandenberg, R. J., & Scarpello, V. (1994).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determinant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commitments to the occupation and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6), 535-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