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females are more risk aversive? Gender and Risk-taking behavior

Main Article Content

Dinara Shosaidova
Seungwoo Kwon
Jihye Park

Abstract

Although the issue of gender differences in risk taking behavior has been an interesting issue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fields, there is no univocal agreement on this topic.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supportive evidence that gender affects risk-taking behavior that is moderated by the frame. In addition, we extend the previous findings by adding variables such as ambition, responsibility,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As expected, gender and frame interact to influence risk-taking behavior, such that positively framed men are prone to take more risks, whereas negatively framed women prefer risk-taking options. In addition, ambition and the level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re positively related to risk-taking behavior, while responsibility level is negatively related to risk-taking behavio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findings are discussed.

Metrics

Metrics Loading ...

Article Details

How to Cite
Shosaidova, D., Kwon, S., & Park, J. (2012). When females are more risk aversive? Gender and Risk-tak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5(4), 661–680. https://doi.org/10.24230/kjiop.v25i4.661-680
Section
Empirical Articles
Author Biographies

Dinara Shosaidova,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Seungwoo Kwon,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Jihye Park,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References

강순화, 김성현, 박종미, 임수정 (2013),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21, 137-160.

구자은 (2002).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획재정부 (2012). 한국 고용의 현주소: OECD 국가와 주요 고용지표 비교. [On-Line]. http://www.mosf.go.kr/news/news02.jsp.

김대권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 (201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안녕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원형, 신강현, 허창구, 이종현 (2007).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05-921.

김유진 (2010).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 성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경 (2012). 음악치료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숙 (2009).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 자아탄력성,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인 건강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혜 (2011).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지역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숙 (2013). 교직경력에 따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주, 유태용 (2013). 직무과부화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와 성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2), 317-340.

김혜미 (2012).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정서지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현미 (2013). 성격유형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중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탈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희성 (2013). 정서노동근로자의 자아탄력성이 내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자 (2011). 사회복지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세영 (1993). 종업원의 분배원칙 선호와 직무만족.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1), 55-91.

박세영 (2011).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331-353.

박은희 (1996). 자아탄력성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련, 박민선, 이뻐라, 정선아 (2009). 교도관의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 역할갈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2), 319-343.

배은정 (2012). 특수교육보조원의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해경 (2011). 호텔 직원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소진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특1급 호텔과 특2급 호텔 직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5(6), 155-179.

송대현, 이종목, 박한기 (1988).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1), 123-146.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병화, 황혜연, 오세진, 이재일 (2001). 비정규 계약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2),73-93.

여선영 (2005).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6(4), 189-206.

유지수, 장재윤 (2011). 직장에서 가정으로서 정서 파급: 성격 요인 및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257-280.

이민구 (2011). 공무원의 직무요구와 자원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록 (2011).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환경을 통제변수로 하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67, 1-18.

이부군 (2002).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의 지도성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영 (2011). 보육시설장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규, 서경현 (2011). 장애인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 및 서비스의 질. 스트레스 연구, 19(2), 129-136.

이은희 (2001). 유교적 근로가치가 직무관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1), 1-25.

이정선 (2012).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 조성연 (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이혜영 (2011). 병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군 생활 적응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사라, 박세영 (2012). 직장인의 개인 및 집단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71-193.

임은선, 최순희 (2012). 일 대도시지역 택시 기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2), 195-203.

임정숙 (201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환수 (2003). 운동부 지도교사의 사회적지지,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안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569-592.

장재윤 (2010). 직무만족과 직장에서 경험하는 정서간의 관계: 빈도 가설과 긍정성 비율 가설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2), 275-295.

장휘숙 (2001).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113-127.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조계연 (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광제 (1990).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민정 (2012).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용석 (2010).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성한 (2011).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재무 (2008). 직무탈진에 대한 개인 및 팀 요인의 영향: 다수준 접근법 활용.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윤, 정남운 (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추원지 (2001). 보건간호사의 사회적 지지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이현 (2002).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신덕 (2004). 상사의 리더십 및 상사에 대 한 신뢰와 구성원 태도와의 관계에 있 어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ntonovsky, A. (1979). Health, stress, and coping. San Francisco: Jossey-Bass.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wartz, J. (2002).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84-93. DOI: https://doi.org/10.1037/1076-8998.7.1.84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pp. 39-10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Cherniss, C. (1980).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k: Praeger.

Chuang, S. S., Michael, E., Lamb, M. E. & Hwang, C. P. (2006). Personality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4), 338-343. DOI: https://doi.org/10.1177/0165025406072795

Cicchetti, D., Rogosch, F. A., Lynch, M., & Holt. K. D. (1993).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Processes leading to adaptive outcom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5, 629-647. DOI: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20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DOI: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Cohen, S., & Syme, S. L. (1985).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In Cohen, S., & Syme, S. L.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 3-23. New York: Academic Press.

Cordes, C. L., & Dougherty, T. W. (1993),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621-656. DOI: https://doi.org/10.5465/amr.1993.9402210153

Cordes, C. L., Dougherty, T. W., & Blum, M. (1997),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685- 701. DOI: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711)18:6<685::AID-JOB817>3.0.CO;2-U

Daniel W. R., Altmaier E., & Velzen, D. V. (1987). Job-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lassroom teach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2), 269-274.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72.2.269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9-165. DOI: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House, J. S. (1981).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In M. Rosenberg & R. H. Turne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Basic Books, Inc.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0(5), 1067-1079.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1.2.123

Licitra-Klecker, D. M., & Wass, G. A. (1993).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high-stress adolescents: The role of peer and family. Journal of Adolescents Research, 8, 381-402. DOI: https://doi.org/10.1177/074355489384003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7-1349. Chicago: Rand McNally.

Markstrom, C. A., Marshall, S. K., & Tryon, S. J. (2000). 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rural low-income Appalachian adolescents from two racial groups. Journal of Adolescence, 23, 693-703. DOI: https://doi.org/10.1006/jado.2000.0353

Maslach, C. (1981). Burnout: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In J. W. Jones(Ed.), The burnout syndrome, pp. 30-53. Park Ridge, IL: London House.

Maslach, C. Jackson, S. E.(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Research edi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Jackson, S. E., & Leiter, M. (199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Scarpello, V., & Campbell, J. P. (1983). Job satisfaction: Are all the parts there? Personnel Psychology, 36, 577-600. DOI: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3.tb02236.x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4).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DOI: https://doi.org/10.1002/job.248

Schaufeli, W., & Enzmann, D. (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CRC press.

Schaufeli, W. B., Taris, T. W., & Van Rhenen, W. (2008). Workaholism, burnout and engagement: Three of a kind or three different kinds of employee well-being.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7, 173-203. DOI: https://doi.org/10.1111/j.1464-0597.2007.00285.x

Spector, P. E. (2004).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NY: John Wiley & Sons, Inc.

Tellegen, A. (1985). Structures of moo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r (Eds.), Anxiety and anxiety disorder (681-706). Hillsdale, NJ: Erlbaum.